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memory
- 24시간의 전사
- Window process
- 디지털포렌식 with CTF
- 네트워크관리사2급
-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 실기
- 윈도우 프로세스
- 포렌식
- N0Named
- disk
- CTF-D
- 생활코딩
- slack space
- 윈도우 프로세스 종류
- Multimedia
- 생활코딩 html
- blkls
- pythonchallenge
- ZIP 파일구조
- vinetto
- 2022시작
- 디지털포렌식
- 는 하지마...
- Multimeida
- 슬퍼유
- ftz
- html
- network
- 네트워크 보안
Archives
- Today
- Total
ssoL2 TISTORY
웨이브(.wav) 파일 분석 본문
- WAV(Waveform Audio File Format)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오디오를 재생하는 오디오 파일 포맷 표준이다.
- 확장자는 [.wav]이다.
- 비압축 포맷이다.
- wave 파일의 헤더 구조
1. RIFF
- Chunk ID (4 byte) = wave 파일의 헤더 시그니처 => 52 49 46 46 (ASCII로 RIFF)
- Chunk size (4 byte) = 전체 파일 크기 - 8 byte(Chunk ID 4 byte + Chunk size 4 byte)
- -> Little Endian 작성
- Format (4 byte) = 파일 형식 => 57 41 56 45 (ASCII로 WAVE)
2. FMT
- Chunk ID (4 byte) = 'fmt ' 고정값=> 66 6D 74 20 (ASCII로 fmt + (space))
- Chunk Size (4 byte) = 현재 Header 크기 - 8 byte(Chunk ID 4 byte + Chunk size 4 byte)
- -> Little Endian 작성
- -> 주황색 헤더는 총 24 byte이므로 24 - 8 = 16 byte 고정값 => 10 00 00 00
- Audio Format (2 byte) = PCM인 경우 고정값 1 => 01 00
- -> Little Endian 작성
- Number Of Channel (2 byte) = 음성파일의 채널 수, mono라면 1이고 stereo라면 2이다.
- -> Little Endian 작성
- Sample Rate (4 byte) = Hz 단위이고, 1초 동안 소리를 몇 개의 조각으로 쪼개서 저장하는지
- -> 만약 10 Hz이면 0.1초 단위로 저장하며, 숫자가 커질수록 음질이 좋다.
- -> Little Endian 작성
- Byte Rate (4 byte) = 1초 동안 소리를 내는데 필요한 byte 수
- -> Little Endian 작성
- Block Align (2 byte) = Sample Frame의 크기
- -> mono면 sample 크기 *1 이고, stereo면 sample 크기 *2 이다.
- -> Little Endian 작성
- Bit Per Sample (2 byte) = Sample 한 개를 몇 bit로 나타낼 것인지
- -> 이 값도 커질 수록 음질이 좋다.
- -> Little Endian 작성
3. DATA
- Chunk ID (4 byte) = 'data' 고정값=> 64 61 74 61 (ASCII로 data)
- Chunk size (4 byte) = 뒤이어 나올 data의 실제 크기 (파일 전체 크기에서 header를 제외한 크기)
- -> Little Endian 작성
<참고>
'sec > foren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로그 분석 (0) | 2021.02.27 |
---|---|
jpg 파일 구조 속 썸네일 (0) | 2021.02.21 |
Audacity 다운로드 및 사용법 (0) | 2021.02.16 |
GIMP2 도구 설치하기 및 사용법 (0) | 2021.02.16 |
[WHOIS] 포렌식 교육 7주차 공부 / volatility 사용법/PID, PPID/md5, NTLM 해시 (0) | 2021.02.1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