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oL2 TISTORY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20.08.23 필기 <NOS> 본문

certificate/네트워크관리사 2급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20.08.23 필기 <NOS>

ssoL2 2021. 2. 17. 01:27

3. NOS

리눅스에서 사용자 패스워드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는 [chage]이다. 1번

[chgrp] : 파일의 소유자 그룹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chmod] : 파일의 허가권을 숫자로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usermod] : 사용자 계정을 변경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


/usr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 필요한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고로 4번이 틀렸다.

   bin => 필수 리눅스 실행파일

   boot => 리눅스 부팅 관련 파일 및 커널

   dev => 컴퓨터에 설치된 하드웨어 관련 정보 파일

   etc => 대부분의 리눅스 설정 파일 ( 패스워드 파일, 쉐도우 파일 등 )

   home => 일반 사용자들의 디렉토리가 들어있는 곳

   lib => 많은 라이브러리 파일 

   mnt => 마운트한 시디룸, 플로피 디스켓 등

   proc => 프로세스들이 파일 형태로 저장

   root => 루트의 홈 디렉토리

   sbin => 기본 명령 제외한 시스템 관리용 리눅스 실행 파일

   tmp => 임시로 파일 저장 ( 권한 없이 누구나 사용 가능 )

   usr =>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설치되어 있는 곳

   var => 시스템 운영 중에 생성되는 각종 파일들 ( 외부 접속에 대한 로그 기록, 메일 저장 위치 등 )

출처: https://ssol2-jjanghacker.tistory.com/entry/ftz-trainer1 [ssoL2 TISTORY]


1번

부트로더(boot loader) : 운영 체제가 시동되기 이전에 미리 실행되면서 최종적으로 운영체제를 시동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 프로그램

CMOS : RTC/NVRAM이 CMOS 반도체로 만들어졌기에 'CMOS'로 불리며, RTC(Real-Time Clock)은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을 저장하고 있고 NVRAM(Non-Volatile Ram)은 비휘발성 램으로 메모리 크기, 드라이브 타입, 부팅 순서 및 구성 정보 등의 CMOS data를 저장하고 있다.

출처: https://ssol2-jjanghacker.tistory.com/entry/2020118-필기-3-NOS [ssoL2 TISTORY]

 

GRUB : 컴퓨터가 시작될 때에 처음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를 불러오는 역할

-> 컴퓨터가 부팅될 수 있도록 커널을 주 기억 장소로 상주시킨다.

MBR(Master Boot Record) :  파티션된 기억 장치의 첫 섹터인 512 byte 시동 섹터

SWAP : 리눅스에서 물리적 메모리(RAM)의 용량이 가득 차게 될 경우 사용되는 여유 공간


동일한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실행 권한 뿐만 아니라 읽기 권한도 갖는다. 4번

리눅스 파일 권한

맨 앞에 [-]는 파일이라는 뜻이고, [d]는 디렉터리라는 뜻이다.

맨 앞 [rwx]는 파일 소유자의 권한, 두 번째 [r-x]는 소유자가 속한 그룹의 권한, 마지막 [--x]는 기타 사용자의 권한이다.

r : 읽기 권한, w : 쓰기 권한, x : 실행 권한

권한을 수치로 표현 가능한데, r(4), w(2), x(1)로 계산하면 rwx=4+2+1=7, r-x=4+1=5, --x=1이므로 파일 모드는 751이다.


top은 우선수위가 아니라 실시간으로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하는 명령어이다. 4번

[kill] :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명령어

[nice]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명령어

[pstree] : 프로세스를 트리 형태로 보여주는 명령어

[top] : 실시간으로 프로세스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명령어


패스워드 필드에 'x'가 pw가 아니라 /etc/shadow 파일에 암호화되어있다. 2번

/etc/passwd : 사용자 계정, root 계정 그리고 데몬에서 사용하는 계정 등의 관련된 정보를 기록한다.

형식 -> root:x:0:0:root:/root:/bin/bash

1. 사용자명 : root

2. 패스워드(/etc/password 파일에 암호화되어 있음) : x

3. 사용자 계정 UID : 0

4. 사용자 계정 GID : 0

5. 사용자 계정 이름(정보) : root

6. 사용자 계정 홈 디렉터리 : /root

7. 사용자 계정 로그인 쉘 : /bin/sh


kerneld는 필요한 커널 모듈을 동적으로 적재해준다. 3번

데몬(Daemon) : 리눅스 세스템이 처음 가동될 때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이며, 메모리에 상주하면서 특정 요청이 오면 즉시 대응 할 수 있도록 대시중인 프로세스를 말한다.

-> MS윈도우의 서비스(Service)와 유사하고 실제로 '서비스'라고 부른다. 

출처: https://ssol2-jjanghacker.tistory.com/entry/2020118-필기-3-NOS [ssoL2 TISTORY]

 

[crond] : 사용자가 지정한 프로그램을 특정 시간에 주기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표준 유닉스 데몬

[httpd] : 아파치 데몬으로 웹 서버를 운영하고자 할 때 반드시 선택해 주어야 한다.

[kerneld] : 필요한 커널 모듈을 동적으로 적재해주는 데몬

[named] : 호스트 이름을 IP로 변환시켜 주는 DNS 데몬


[-c] 옵션으로 shutdown 명령을 취소할 수 있다.

[shutdown] : 리눅스 '종료' 혹은 '재부팅' 명령어
출처: https://ssol2-jjanghacker.tistory.com/entry/2020118-필기-3-NOS [ssoL2 TISTORY]

 

[shutdown -c] 혹은 CTRL+C로 명령을 취소할 수 있다.


soa 레코드에서 TTL 값이 짧으면 DNS의 부하가 늘어난다. 따라서 4번이 틀렸다.

SOA 레코드 : 도메인 영역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네임서버에게는 어떤 기준으로 도메인을 관리해야하는지 알려줌

-> 독립적인 도메인 존(zone)을 표시해준다.

필드 값은 다음 순서로 사용한다.

1. mname(주 서버) : 마스터 네임서버의 도메임 이름을 설정함

2. rname(책임자) : 도메인 존 관리자/담당자의 e-mail 주소를 도메인 이름형식으로 표현하여 설정

-> ex) admin@example.com => admin.example.com

3. serial(일련번호) : 도메인 존의 갱신 버전번호 정보 설정

   refresh(새로 고침 간격) : 도메인 존을 갱신하는 주기 시간을 초단위로 설정

   retry : 도메인 존 갱신여부 확인에 실패한 경우, 재시도 주기 시간을 초단위로 설정

   expire : 도메인 존 갱신에 실패하여 도메인에 대한 DNS 질의응답을 중단해야 하는 기간을 초단위로 설정

4. minimum : 존에 없는 응답의 경우 이 정보의 캐싱에 적용하는 TTL값

출처: https://ssol2-jjanghacker.tistory.com/entry/2020118-필기-3-NOS [ssoL2 TISTORY]

 

1. Zone 파일항상 SOA로 시작한다.

2. 해당 Zone에 대한 네임서버를 유지하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가 저장된다.

3. Refresh는 주 서버와 보조 서버의 동기 주기를 설정한다.

4. TTL 값이 짧으면 DNS의 부하가 늘어난다.


'DNS'의 정방향 조회는 도메인->IP이고, 역방향 조회는 IP->도메인이다. 따라서 1번만이 정답이다.


DNS 레코드에서 실제 도메인 이름과 연결되는 가상 도메인 이름의 레코드 형식은 CNAME이다. 1번

A 레코드 : 도메인 이름을 IP주소(IPv4)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도메인->IP주소 정방향조회)
PTR 레코드 : 정방향 DNS와 달리 IP 주소를 기반으로 도메인 이름을 찾는데 사용된다. (IP주소->도메인 역방향조회)
출처: https://ssol2-jjanghacker.tistory.com/entry/2020118-필기-3-NOS [ssoL2 TISTORY]

 

MX 레코드 : 지정된 DNS 이름의 메일 교환 호스트에 메일 라우팅을 제공한다.

CANME 레코드 : 이미 지정된 이름에 대한 별칭 도메인 추가할 때 사용된다.


아파치 웹서버의 환경 설정 파일은 httpd.conf이다. 4번

/etc/named.conf : named 데몬의 설정 파일로, DNS 서버 구축하고자 할 때 많이 접근하는 파일

/etc/simba/smb.conf : 삼바(리눅스-윈도우 공유 프로토콜) 서버의 기본 설정 파일

/etc/lilo.conf : 운영 체제 선택 부팅해주는 부트 매니저 프로그램인 lilo의 환경설정 파일

/etc/httpd.conf : 아파치 웹서버의 환경 설정 파일


성능 모니터 도구는 perfmon이다. 1번

[perfmon] : 윈도우에서 성능 모니터 도구를 시작하기 위한 명령어

[msconfig] : 시스템 구성과 관련된 명령어

[dfrg] : 디스크 조각 모음과 관련된 명령어

[secpol] : 로컬 보안 설정과 관련된 명령어


이벤트 뷰어의 로그는 응용프로그램, 시스템, 보안, 설치 4가지가 기본이다. 사용자 권한이 틀렸으므로 4번이다.

 

  • Windows eventlog : Window의 로그를 '이벤트 로그'라고 부르며, 윈도우에서 일어나는 일을 분야별로 나눠 기록
  • 성능, 오류, 경고 및 운영 정보 등의 중요 정보 기록
  • 운영체제의 버전 별로 형태와 경로가 다름
  • 이벤트뷰어의 로그파일 중 가장 일반적인 로그파일은 응용프로그램, 시스템, 보안, 설치 총 네 가지

출처: https://ssol2-jjanghacker.tistory.com/entry/WHOIS-포렌식-교육-3주차-공부-보고서-작성 [ssoL2 TISTORY]


 

Window에서 지원하는 암호화 솔루션은 'BitLocker'이다. 1번


root는 리눅스의 관리자 모드이다. 4번

Window Server 2016 사용자 계정에서 로컬 계정은 3개이다.

1. Guest

2. DefaultAccount

3. Administrator


운영체제 업그레이드 관련 기능은 롤링 클러스터 업그레이드이다.

NanoServer : Private 클라우드 및 데이터 센터에 최적화된 원격 관리 서버 운영 체제이다. (compact)
출처: https://ssol2-jjanghacker.tistory.com/entry/2020118-필기-3-NOS [ssoL2 TISTORY]

 

롤링 클러스터 업그레이드 : 관리자가 Hyper-V 또는 스케일 아웃 파일 서버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클러스터 노드의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중첩 가상화 : Hyper-V 가상 컴퓨터 내부에서 Hyper-V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으로 Hyper-V 호스트 자체를 가상화 할 수 있다.

gpupdate : 그룹 정책 설정을 새로 고친다.


파일 서버를 관리하는 서비스는 FSRM 이다. 1번

FSRM : 파일 서버 리소스 관리자로, Windows Server 파일 서버에서 데이터를 관리 및 분류하는데 사용되는 도구
출처: https://ssol2-jjanghacker.tistory.com/entry/2020118-필기-3-NOS [ssoL2 TISTORY]

 

FTP : File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로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파일을 옮기기 위한 TCP 기반 프로토콜이다.
출처: https://ssol2-jjanghacker.tistory.com/entry/WHOIS-포렌식-교육-6주차-공부-HTTP-FTP-DNS-TLS-프로토콜ZIP-password-cracking [ssoL2 TISTORY]

 

Apache Server(아파치 웹서버) :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관리하는 HTTP 웹 서버이다.
출처: https://ssol2-jjanghacker.tistory.com/entry/2020118-필기-3-NOS [ssoL2 TISTORY]

 

DFS(Distribute File System) : 분산 파일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마치 자신에게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인 것처럼, 처리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