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Window process
- 생활코딩
- 윈도우 프로세스 종류
- vinetto
- ftz
- pythonchallenge
- Multimeida
- slack space
- 24시간의 전사
- 생활코딩 html
- ZIP 파일구조
- 디지털포렌식 with CTF
- CTF-D
- 실기
- 2022시작
- 슬퍼유
- memory
- 네트워크 보안
- N0Named
- disk
- 윈도우 프로세스
- 디지털포렌식
- Multimedia
- blkls
- 는 하지마...
-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 html
- 네트워크관리사2급
- network
- 포렌식
- Today
- Total
목록com/python (28)
ssoL2 TISTORY
- 전역 변수(global variable) : 프로그램 전체에서 사용 가능 - 지역 변수(local variable) : 함수 내에서만 사용 가능 - scoping rule : 변수를 찾을 때 지역 변수 -> 전역 변수 순으로 찾는다. - global 선언 : 전역 변수를 함수 내에서 바꾸고자 하면, global 선언이 필요 (바깥 것을 안에서 바꿔) global a 변수 a를 global 선언함 - 또한, 함수에서 만든 지역 변수를 전역 변수로 사용하고자 할 때도 global 선언 필요 (안 것을 바깥에서 사용) - 함수 매개변수는 지역 변수 - mutable 객체가 인수인 경우 (리스트(list), 집합(set), 사전(dict)) - 사전은 집합의 일종이므로 리스트와 집합의 경우만 보자 - 기본값..
- 함수는 입력과 출력을 갖는 black box(주어진 입력에 대해 어떤 과정 거쳐 출력이 나오는지 숨겨져 있음) - 재사용(reuse) 가능하며 함수 이름, 입력, 출력이 중요함. - 내장 함수(bulit-in functions) : 파이썬 언어에서 미리 만들어서 제공하는 함수들 - IDLE에서 dir(__builtins__) 입력하면 내장 함수 목록 출력함 - 사용자 정의 함수(user-defined function) : 사용자가 직접 만드는 함수 - 군집자료형에 유용한 함수들 len() max() min() sum() sorted() # 리스트가 아닌 튜플, 집합에서 sorted되면 자동으로 리스트로 변환된다. reversed() # 뒤에서 보충 설명 - reversed 함수 : 군집자료형 데이터를..
- 정답 예시보고 마무리 개행문자까지 잘 확인하기 - list와 tuple의 경우 max, min, sum, len 내장함수 이용 가능 - print 여러개 연속으로 출력 가능 - 계산 값의 통일성을 위해서는 print 문자열 %를 이용하자 - 그러나 계산 값의 소수점이 다 다른경우는 그냥 print 한 경우임 - 정답 예시보고 마무리 개행문자까지 잘 확인하기 - list와 tuple의 경우 max, min, sum, len 내장함수 이용 가능 - print 여러개 연속으로 출력 가능 - 계산 값의 통일성을 위해서는 print 문자열 %를 이용하자 - 그러나 계산 값의 소수점이 다 다른경우는 그냥 print 한 경우임
- range() 함수 : 일정 범위의 수를 반환 range(b) 0부터 b-1까지의 수 반환 range(a,b) a부터 b-1까지의 수 반환 range(a,b,n) a부터 b-1까지의 n 간격의 수 반환 ex) A = range(5) >>> type(A) # 출력 (type은 range임) print(A) # range(0,5) 출력 (값이 출력 되는게 아니라 range 자체가 출력) - 따라서 range()를 사용하려면 list() 형변환하여 사용 - for 구문을 이용한 반복문 for 변수 in [데이터 집합 range() or str or list or tuple or set or dict] : 명령어1 .... 명령어n 데이터 집합에서 데이터를 하나씩 변수에 넣고 반복 수행 - for 구문에서도..
- 집합(set) : 중복된 데이터를 가질 수 없고 순서가 없는 데이터 구조 - 인덱싱, 슬라이싱 안되며 (+), (*), in, not in, len() 안됨 - 집합(set)은 mutable 자료형이다. s = {1, 2, 5} 집합 s 생성 S = set() 빈 집합 S 생성 - 집합(set) 메소드 사용하기 - 집합.메소드 1 : 집합에 원소 추가하기 set.add(x) 집합 set에 데이터 x를 추가 ex) A = {4,2,6,8,3} A.add(5) print(A) # {2,3,4,5,6,8} 출력 (집합은 순서가 없기에 랜덤이다) A.add(3) print(A) # {2,3,4,5,6,8} 출력 (이미 있는 데이터 추가시 변동x) - 집합.메소드 2 : 집합에서 원소 삭제하기 / 공집합 만들..
- 리스트(list)는 대괄호 []를 사용하여 여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 - 순서가 있고, 인덱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접근 가능, 무엇보다 리스트는 mutable 하다 - 리스트는 mutable하기 때문에 수정이 가능하다 ex) score[2] = 78 ; print(score) #[80, 90, 78, 88 ,92] 출력 - 슬라이싱(slicing) - 리스트(list)는 + (연결) 과 * (반복) 에 대한 연산이 가능하다. ex) L = [1,3,5] ; M = [2,4] >>> L + M # 에서 [1,3,5,2,4] 출력 print(L,M) # [1,3,5] [2,4] 출력 # L + M시 L과 M은 절대로 변하지 않고 두 리스트를 연결한 새로운 리스트만 반환하는 것이다. >>> L *..
- 문제를 보고 공통적으로 계산하는 것들은 한번에 처리하기 - 일단 정확한 수식도를 계획하기 - 계속적으로 사용할 것들을 이용해서 코드를 짜자. 특히 반복적 활용시 수의 오름차순 같은 것들 - 반복하는 구문은 반복문을 이용하는 것이 코드의 효율성 및 가시성에 훨씬 좋다. - 문제를 보고 공통적으로 계산하는 것들은 한번에 처리하기 - 일단 정확한 수식도를 계획하기 - 계속적으로 사용할 것들을 이용해서 코드를 짜자. 특히 반복적 활용시 수의 오름차순 같은 것들 - 반복하는 구문은 반복문을 이용하는 것이 코드의 효율성 및 가시성에 훨씬 좋다.
- 반복 논리 : 특정 명령 또는 연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경우이며, 반복을 제어할 조건문이 존재해야 함 - 파이썬의 두 가지 반복문 1. while 반복문 2. for 반복문 while 조건식 : 명령어1 명령어2 .... 명령어n - while 반복문 제어하기 (break 사용) - break 는 반복문 안에서 사용하면 반복문을 끝내도록 함!!! - while 반복문 제어하기 (continue 사용) - continue는 반복문의 조건으로!!! 제어가 가도록 함. - continue이 실행 되면 continue 아래 부분은 1도 실행되지 않은 채 반복문의 조건으로 이동한다. - 중첩된 while 반복문 - while 반복문 안에 while 반복문이 필요한 경우 중첩된 반복문을 사용
- 불리언(Boolean) 표현식 : True(참) or False(거짓) 판단 가능한 문장 ex) 3은 5보다 크다 -> False - 관계 연산자 : 두 데이터 값을 비교하는 연산자 - 논리 연산자 : True or False 값을 피연산자로 취해서 논리값을 계산하며 not, and, or 세 종류 - 파이썬에서는 연속으로 관계 연산자 써도 되는 듯 하다. ex) 0 < a < b - if 조건문 (조건 논리) : 특정 조건에 따라 명령을 선택적으로 수행 '조건'에는 불리언 표현식이 와야 함 (참/거짓) if 조건 : 명령문 ... 명령문 else : 명령문 ... 명령문 - 조건 논리 유형 1 : 조건이 참인 경우에만 어떤 특정 명령 실행 - 조건 논리 유형 2 : 조건이 참과 거짓인 경우 각자 실..
- 출력문 print() 내장 함수 - python2에서는 괄호를 안써도 되지만 python3부터는 무조건 써야함 - 출력하고자 하는 값 여러개이면 콤마로 구분 => 출력시 사이사이에 공백 한 개 추가 - 에서는 변수 a가 문자라면 홑따옴표가, 숫자라면 숫자만 출력됨 a = '11' b = 11 print(a, b) # 11 11 똑같이 출력됨 >>> a # 대화형 모드시 '11' 출력 >>> b # 대화형 모드시 11 출력 - (+) 연산자 사용 시 같은 타입일 때만 가능 - print() 함수 내에서 사용하는 특수 문자 - 문자열(str)과 정수(int)를 % 이용한 서식 출력 print('%s%d'%( , )) 문자열(%s)와 정수(%d)를 출력함 ex) name = 'Alice' ; score =..
-문자열 객체 1. 홑따옴표 1개 2. 쌍따옴표 1개 3. 홑따옴표 3개 4. 쌍따옴표 3개 - 홑, 쌍따옴표 1개로 사용할 때 역슬래쉬(\)로 문자열 연결함(엔터할 시) - 만약 문자열 내 1,2번이 들어갔으면 나머지 3개로 사용함 ex) a = "say 'hello' to mom" a = """say 'hello' to mom""" a = '''say 'hello' to mom''' - 홑, 쌍따옴표 3개 사용할 때 엔터 안쳐도 그 자체로 문구를 인식함 ㄱㅊ음 - 문자열 객체는 수치형 같이 immutable하다. - 순서가 있는 자료형으로 인덱싱 이용 print(greeting[n]) n번째 인덱스 출력 #ex) n=7 => o 출력 greeting[0] = 'H' #TypeError 발생 문자열 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