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2022시작
- 슬퍼유
- Window process
- ZIP 파일구조
- 윈도우 프로세스 종류
- network
- 생활코딩 html
- 생활코딩
- memory
- 네트워크 보안
- 실기
- Multimedia
- 24시간의 전사
- disk
- blkls
- 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 디지털포렌식
- 포렌식
- 디지털포렌식 with CTF
- Multimeida
- 윈도우 프로세스
- N0Named
- ftz
- slack space
- pythonchallenge
- vinetto
- CTF-D
- 네트워크관리사2급
- html
- 는 하지마...
- Today
- Total
ssoL2 TISTORY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20.11.08 필기 <TCP/IP> 본문
1. TCP/IP
IP 주소 클래스는 하나의 IP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나누기 위한 방법
A Class : 0xxx xxxx. xxxx xxxx. xxxx xxxx. xxxx xxxx => 0.0.0.0~127.255.255.255
B Class : 10xx xxxx. xxxx xxxx. xxxx xxxx. xxxx xxxx => 128.0.0.0~191.255.255.255
C Class : 110x xxxx. xxxx xxxx. xxxx xxxx. xxxx xxxx => 192.0.0.0~223.255.255.255
* 실제 네트워크 주소 1부터 126까지. 127는 안됨
* 호스트 주소 all 1인 경우 브로드캐스트 주소, all 0인 경우 네트워크 주소로 사용됨 고로 -2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네트워크주소, 호스트주소 나눔 => 라우터 경로 설정 테이블 최소화(IP 주소 낭비 해결)
C Class 서브넷 계산 => Subnet Mask 마지막 숫자 + 호스트 수(시스템, 브로드캐스트 주소 제외) = 254
IPv6 : 128bit로 구성되며 2 byte 씩 16진수 콜론으로 표현
IPv6 = 기본 헤더(40 byte) + 페이로드(확장 헤더 포함)
Version (4 bit) : IPv4는 4, IPv6은 6
Traffic Class 또는 Priroity (8 bit) : IP 패킷 마다 서로 다른 서비스 요구사항 구분하기 위함
Flow Label (20 bit) : IP를 연결지향적 프로토콜로 사용할 수 있게 함
Payload Length (16 bit) : 페이로드의 길이 (확장헤더 + 상위계층 데이터) < 2^16(65536) 까지 가능
Next Header (8 bit) : 기본 헤더 다음에 위치하는 확장 헤더의 종류
Hop limit (8 bit) : IPv4에서의 TTL(Time To Live)과 같은 역할
Source Address : 발신처 주소
Destination Address : 목적지 주소(소스 라우팅일 경우 다음 라우터 주소)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메세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UDP(User Datagram Protocol) :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
UDP 패킷 구조 = IP 헤더 + UDP 헤더 + 데이터
UDP 패킷 헤더 구조 TCP에 비해 매우 단순함
발신/수신 포트 번호(Source/Destination Port) : 16 bit의 포트 번호 사용
길이(Length) : 바이트 단위의 길이
체크섬(Checksum) : 선택 항목으로 에러검출 기능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TCP/IP에서 IP 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알려주는 프로토콜
ICMP 헤더 (4 byte) = type (8 bit) + code (8 bit) + Checksum (16 bit)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유니캐스트(unicast) 전송이란 고유 주소로 식별된 하나의 네트워크 목적지에 1:1로 (one-to-one) 트래픽 또는 메세지를 전송하는 방식이라 말함
IP Datagram : IP 프로토콜에서 데이터가 전달되는 기본 단위
Version (4 bit) : 0100
Header Length (4 bit) : 헤더의 길이
DS/ESN (8 bit) : 데이터 마다 우선권 부여(거의 안씀 00000000)
Total Length (16 bit) : 데이터 포함 IP Datagram의 전체 길이
Identification (8 bit) : 재조립을 위한 모체를 식별하는 코드
Flags (3 bit) : more bit(파편 중 마지막인지 아닌지), Don't fragment bit(절대 분할 금지)
Fragment Offset (13bit) : 헤더 빼고 데이터만의 시작 위치
Time to Live (8 bit) : 데이터그램의 수명 네트워크를 거칠 때마다 --1; 0이 되면 폐기
Protocol (8 bit) :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이 누구인가? ex) TCP, UDP, ICMP
Header Checksum (16 bit) : 데이터 자체가 아닌 헤드의 오류만 검출
Source Address (32 bit)
Destination Address (32 bit)
Options + Padding (가변 bit) : 전체 길이 무조건 4의 배수여야 함 그래서 padding 사용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7 Layer) : 네트워크 상호호환을 위한 표준 아키텍처
Layer 7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Data
Layer 6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Data
Layer 5 : 세션 계층(Session layer) / Data
Layer 4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Segment
Layer 3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Packet
Layer 2 :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Frame
Layer 1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Bit
TCP 응용 계층 프로토콜 : FTP, HTTP, Telnet, SMTP, POP3, IMAP 등
UDP 응용 계층 프로토콜 : DNS, DHCP, SNMP 등
이 중에서 DNS 메세지 크기가 512 Byte 이하이면 UDP 사용, 그 이상이면 TCP 사용
DNS에는 정방향 영역과 역방향 영역 존재.
정방향 영역 :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관리하는 영역 (도메인->IP주소)
역방향 영역 : IP주소에 대한 도메인 이름을 관리하는 영역 (IP주소->도메인)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망관리 시스템) : 네트워크 상의 장비들 감시 목적
망관리용 프로토콜로 중소규모의 TCP/IP 기반의 기본 관리 프로토콜로는 SNMP 프로토콜 사용
OSI에서 제시한 대규모 망에 대한 프로토콜은 CMIP 프로토콜 사용
일반적인 B Class 네트워크 서브넷은 255.255.0.0이다.
여기서 6개의 서브넷이 필요하다면 적어도 6 < 2^3인 3bit가 필요하므로
서브넷의 3번째 옥테드의 상위 3개의 비트가 1이여야 한다. 따라서 11100000 => 128+64+32=224이다.
TCP와 IP는 흐름제어(Flow Control), 단편화(Fragmentation), 오류 제어(Error Control)은 하지만 압축화(Compression)은 하지 않는다.
발신/수신 포트 번호(Source/Destination Port) : 16 bit의 포트 번호 사용
길이(Length) : 패킷의 바이트 단위의 길이
체크섬(Checksum) : 선택 항목으로 에러검출 기능(헤더와 데이터 모두 에러확인)
SMTP : 인터넷에서 전자우편(E-mail)을 보낼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MAC Address :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RARP) : IP 호스트가 자신의 물리 네트워크 주소(MAC)은 알지만 IP주소를 모르는 경우, 서버로부터 IP주소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
주소 결정 프로토콜(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 네트워크 상에서 IP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 호스트 IP 구성 관리를 단순화하는 IP 표준
'certificate > 네트워크관리사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20.08.23 필기 <TCP/IP> (0) | 2021.02.16 |
---|---|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20.11.08 필기 <네트워크 운영기기> (0) | 2021.02.15 |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20.11.08 필기 <NOS> (0) | 2021.02.15 |
네트워크관리사 2급 2020.11.08 필기 <네트워크 일반> (0) | 2021.02.15 |
네트워크관리사 2급 계획 일정 (0) | 2021.02.12 |